ESG 전략체계
ESG 경영 체계와 비전
ESG 경영체계
미션 및 비전
SK가스는 전사 미션 및 비전과 연계한 ESG 경영을 실천하고 기후변화에 선도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Zero Carbon으로의 사업 포트폴리오 대전환을 추진하고자 합니다. 이를 위해 SK가스는 ‘Sustainable Energy, Better Future’라는 ESG 비전을 수립하고, ‘For the Planet’, ‘With Stakeholders’, ‘Through Transparency’라는 ESG 영역별 방향성에 따른 중점 추진 영역을 설정하였습니다.


- 전사 MISSION:We Create the Future of Energy
- 전사 MISSION:Net Zero Solution Provider
- Business Portfolio Transform 사업 영역 다각화 [New Growth Engine] 확보
- LPG BM혁신
- Platform
- Eco Station
- PP
- Retail
- Autogas
- 지역확장
- PDH
- 가정 상업용
- TSP
- LNG/발전 등 업종 확장
- 배관망 사업
- LNG Trading
- LNG Terminal
- LPG Trading
- Optionality
- LNG 벙커링
- SKMU
- UGPS
- 미래 청정 에너지 선점(H2/NH3)
- H2 유통
- 수소액화
- 액화저장
- 블루 H2/NH3 해외도입
- 추출 H2생산
- 청록 H2생산
- 그렌 H2/NH3 해외도입
- H2/NH3 흔소발전
- 연료전지
- NH3 수송/저장
ESG경영 거버넌스
ESG위원회는 회사의 중장기 기후변화 대응전략 수립과 지속 가능한 성장을 위한 ESG 경영 관련 자문과 검토에 대한 책임을 갖고 있으며, 조직 기후관련 대응활동을 총괄합니다. 정기적으로 기후변화 대응 및 관리 현황을 모니터링하고 대응계획을 논의하고 있으며, 그 결과를 이사회에 보고하고 있습니다. 이와 함께 SK가스가 직면한 기후변화 관련 리스크를 파악 및 대응하기 위한 의사결정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 이사회
- ESG위원회:중장기 전략 포함한 ESG 기반 경영 자문, 검토
- CEO
- 경영지원본부장
- 전략기획실장
-
- ESG운영그룹
- ESG 이니셔티브 참여
- ESG 평가 대응
- ESG 공시 관리
이사회 에서 ESG운영그룹은 모니터링
ESG운영그룹 에서 이사회 보고
ESG 마스터 플랜
SK가스는 변화하는 사회적 니즈에 대응하고 지속성장하기 위해서는 본질적 변화가 필요하다고 판단하고 2021년 12월, ESG 마스터 플랜을 수립하였습니다. SK가스의 ESG 마스터 플랜은 크게 Net Zero Solution Provider로의 사업 포트폴리오 혁신 계획과 ESG 분야별 추진 방향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앞으로 SK가스는 ESG 마스터 플랜을 기반으로 ESG 경영활동을 추진해 나갈 것이며, 이를 통해 사회와 비즈니스의 지속가능성을 확보해 나가겠습니다.


For the Planet
- 1. GHG Emissions
(기후변화 대응) - Scope 1, 2 Net Zero (‘30)
- RE: 60(’25) 100(‘30)
- Lower/Zero Carbon 제품/서비스 공급을 통한 온실가스 배출 저감 기여
- Scope 3 감축 방안 수립
- 2. Air Quality
(대기오염물질 관리) - 사업장 대기오염물질 배출 저감
- 청정에너지 제품/서비스 보급 확대를 통한 대기오염물질 배출 저감
- 3. Water & Waste
(수질오염 및 폐기물 관리) - 용수 원단위 절감 및 재활용률 확대
- ZWTL “Gold/Platinum” 등급 수준 유지
- 4. Ecology & Biodiversity
(생물다양성 보존) - 해양 및 토지 오염 예방·복원
- 생물종 다양성 보호
- 서식지 보존 및 복원
With Stakeholders
- 5. Health & Safety
(산업안전보건) - 구성원의 안전
- 협력업체의 안전
- 지역사회의 안전
- 6. Human Values
(구성원 및 인권) - 인권경영 정책 수립 및 실행
- 인재 육성
- 일과 삶의 균형
- 구성원 다양성, 형평성, 포용성(DEI)
- 구성원 ESG 인식/실천 고도화
- 7. Responsible Business
(사회책임경영) - 공급망 관리 강화
- 정보 보안
- 제품 책임 및 서비스 강화
- 8. Society Engagement
(지역사회) - 지역사회 친환경 확대(Green)
- 지역사회 행복 확산(Health)
- 취약계층 삶의 질 개선(Hope)
Through Transparency
- 9. Board Leadership
(이사회 경영) - 이사회 전문성/다양성 강화
- 이사회 독립성 강화
- ESG 기반 경영진 평가/보상제도
- 10. Compliance & Ethics
(준법 및 윤리경영) - 반부패/감사
- Compliance 실천 강화
- 공정거래 실천 체계 구축
- 11. Business Portfolio Mgmt.
(사업 포트폴리오) - ESG 기준 적용 신사업 투자
- 통합 Risk 관리체계 수립/실행
- 자회사/종속회사 투자 관리
- 12. Sustainability Comm.
(이해관계자 커뮤니케이션) - 주주가치 제고
- ESG 공시 강화
- ESG Global Partnership 확대
중대성 평가
SK가스는 내부적 관점에서 기업에 미치는 재무적 영향과 외부적 관점에서 기업이 환경 및 사회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해야 한다는 이중 중대성(Double Materiality) 개념을 적용하여 중대성 평가*를 실시하였습니다. 지속가능성 이슈를 평가하는 과정에서는 구성원과 외부 이해관계자(애널리스트, ESG 전문가 등)를 대상으로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실시하여 평가의 신뢰성을 높이고자 하였습니다.
- *평가는 GRI(Global Reporting Initiative) 3: Material Topics 2021와 [Draft] EFRAG IG 1: Materiality assessment implementation guidance를 참고하여 개발한 방법론을 적용하였습니다.
중대성 평가 프로세스


1단계: 지속가능성 이슈 식별
- 지속가능성 이슈 도출
- EU ESRS 전체 토픽 기반 지속가능성 이슈
- Long-list 구성
- 산업별 국제표준, 글로벌 이니셔티브, ESG 평가 지표, 대내외 이해관계자 설문조사 결과, 협력사 및 동종업계 벤치마킹, 미디어 리서치 결과를 반영하여 관련성 높은 이슈 선별
2단계: 영향, 위험 및 기회 식별
- 기업 활동이 환경 및 사회에 미치는 영향 식별
- 지속가능성 이슈 관련 통계자료, 구성원 인터뷰, 벤치마킹 분석 기반 영향 식별
- 영향별 긍정/부정 및 실제/잠재 유형 분류
- 지속가능성 이슈가 기업에 미치는 재무적 영향 식별
- 전사 통합 리스크 관리 체계 식별 사항, 내부 구성원 대상 인터뷰, 지속가능성 이슈 관련 외부 공시 기준, 법·규제 동향, 벤치마킹 등을 통한 위험 및 기회 식별
- 영향별 위험/기회 유형 분류
3단계: 영향, 위험 및 기회 평가
- 환경 및 사회에 미치는 영향 평가: 심각성(규모, 범위, 교정가능성) 평가
- 재무적 영향 평가: 규모 및 발생 가능성 평가
- 내부 구성원 대상 Focus Group Interview 수행: 유관 부서 구성원 대상으로 연관된 영향, 위험/기회 평가를 위한 인터뷰 수행 (2025.02.12 ~ 2025.02.24)
4단계: 중요 영향, 위험 및 기회 도출, 관리방안 수립
- 중대성 평가 결과 기반 중요 영향, 위험 및 기회 도출
- 도출된 결과에 따른 관리방안 수립
- 최종 결과 ESG위원회 보고
- 1) ESRS: European Sustainability Reporting Standards, 2) 부정적 영향인 경우에만 평가 , 3) 잠재적 영향인 경우에만 평가
중대성 평가 결과의 활용
SK가스는 이중 중대성 평가 결과를 기반으로 당사의 활동이 환경·사회에 미치는 영향과 함께 외부 지속가능성 이슈가 기업에 미치는 재무적 위험 및 기회를 모두 평가하였고, 식별 및 평가된 영향, 위험 및 기회에 관한 대응 방안을 기업 전략에 반영하여 회사의 지속가능성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ESG 핵심지표
SK그룹은 다양한 글로벌 ESG 가이드라인을 토대로, 멤버사의 업종별 ESG 핵심 지표 가이드라인 제공하고 있으며, 이를 참고하여 SK가스는 개별 지표별로 동종기업 글로벌 최고 수준의 목표를 지향하고 있습니다. 이를 위해 주요 이슈별 담당 조직을 선정하고 개선 방안을 실행 중이며, 매년 그 실적을 공개하고 있습니다. 주요 이슈별 정책과 전략은 지속가능보고서 및 홈페이지를 통해 이해관계자와 소통하고 있으며, 최근 3개년 실적 및 향후 3개년의 계획 및 목표에 대해서도 ESG Data Hub를 통해 공개하고 있습니다.
Social Value
DBL 경영


SK DOUBLE BOTTOM LINE
- 경제적 가치:기업 경제활동의 최종 결과물로서, 일반적으로 인정되는 기업회계 기준에 의해 공시되는 재무성과
- 사회적 가치:기업경제활동을 통해 이익을 창출하고, 사회 훼손 비용을 줄임으로써 창출되는 사회성과
인간중심의 경영철학을 바탕으로 행복경영에 뿌리를 둔 사회적 가치추구
SK는 경제적 가치, 이윤만 추구하는 기존의 Single Bottom Line에서 벗어나 경제적 가치(EV, Economic Value)와 사회적 가치(SV, Social Value)를 동시에 추구하고 관리하는 Double Bottom Line(DBL)을 경영 철학에 반영하여 기업의 지속가능한 성장을 실현하고자 합니다.